나스닥, 블랙록 비트코인 ETF 위해 ‘인-카인드 상환’ 규칙 변경 요청

나스닥이 블랙록 비트코인 ETF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인-카인드 상환' 모델 규칙 변경을 SEC에 요청했다.

나스닥(Nasdaq)이 블랙록(BlackRock)의 비트코인 ETF에 ‘인-카인드(In-Kind) 상환’ 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규칙 변경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요청했다. 이번 요청은 24일(현지시간) 공식 문서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ETF 분석가들은 이 모델이 비트코인 현물 ETF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오래전부터 도입됐어야 했다고 평가했다.

‘인-카인드’ 상환 방식은 ETF에서 주식 창출 및 상환 과정에서 현금을 사용하지 않고, 해당 자산인 비트코인을 직접 교환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현금 창출과 상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개 수수료와 가격 스프레드를 방지해 비용 효율성을 높인다. 하지만 일반 투자자에게는 이 방식이 적용되지 않으며, ‘권한을 부여받은 참가자(Authorized Participants)’로 제한된다.

ETF 분석가 제임스 세이퍼트(James Seyffart)는 이러한 방식이 ETF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온체인 거래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ETF 설계의 간소화와 거래 효율성 증대, 그리고 과세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변경으로 인해 개별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직접 입출금할 수 있다는 오해가 퍼졌으나, 분석가들은 해당 규칙이 오직 승인된 기관들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블랙록의 아이셰어즈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는 2024년 출시 이후 약 395억 7,000만 달러(약 57조 8,765억 원)의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미국 내 최대 비트코인 현물 ETF로 성장했다. 이와 동시에 유럽 투자사 코인셰어스(CoinShares)는 라이트코인(LTC) 및 리플(XRP) ETF를 신청하였고, 그레이스케일(Grayscale) 또한 솔라나(SOL)와 라이트코인 신탁을 ETF로 전환하기 위한 신청서를 제출하며 ETF 시장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비트와이즈, 유럽서 솔라나 스테이킹 ETP 출시로 크립토 시장 공략 강화

한국 금융당국, 기업 암호화폐 거래 허용 계획 본격화

프랭클린 템플턴, 토큰화 펀드 ‘블록체인 검증 시스템’ 도입

Baby Shark Universe, $BABYSHARK 밈 코인으로 Web3 시대 개척

국내 암호화폐 사용자, 인구 30% 돌파하며 글로벌 시장 주도

비트코인 1억 5천만 원 돌파, 온도·팬텀·버츄얼스 강세 기록

Andrew Han 기자
Andrew는 금융 및 블록체인 산업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전문 기자로, 암호화폐와 관련된 심층 분석과 시장 동향 보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 11. 16. 03:28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