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1월 소매판매 0.7%↑, 자동차 판매가 소비 강세 견인

미국의 11월 소매판매가 0.7% 증가하며 소비 강세를 이어갔다. 자동차 판매가 2.6% 상승하며 주요 성장 동력이 되었고, 이는 연준의 금리 정책 논의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소매 부문 간 불균형을 지적하며 중장기적 둔화 가능성을 경고했다.

美 11월 소매판매 0.7%↑, 자동차 판매가 소비 강세 견인 / inteliview

미국 소매판매, 자동차 판매 증가로 11월 소비 지출 견인

미국의 자동차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11월 소비 지출이 경제학자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기록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전망이다.

소매판매 증가 세부 내용

17일(현지시간) 미 상무부가 11월 소매판매가 0.7% 증가하며 총 7246억 달러(약 1,014조 4,00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한 0.5%보다 높은 수치로, 6개월 연속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이다. 또한 10월 소매판매 결과도 상향 조정되면서 소비 활동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 기간 자동차 판매는 전월 대비 2.6% 증가하며 매출 호조를 기록하였다. 또한,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1.8%의 상승률을 보이며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 반면, 식료품점, 의류 매장, 외식업소 등은 매출 감소를 경험해 일부 소매 부문에서는 소비 둔화가 감지되었다.

소매판매가 연준 정책에 미칠 영향

소매판매 호조는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다시 논의하는 데 있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웰스파고의 경제학자 팀 퀸란과 섀넌 시어리 그레인은 “정책결정자들은 고용 시장의 둔화와 소비 성장의 강세라는 이상한 조합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소비 지출의 지속적인 성장이 연준의 정책 경로에 혼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일부 경제학자들은 자동차와 전자상거래 매출 증가가 다른 소매 부문의 약화를 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이션와이드의 선임 경제학자 벤 아이어스는 “세부 데이터를 보면 2024년 말 소비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가격에 민감한 쇼핑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2025년 초 경제 성장이 점차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향후 전망

11월 소매판매 강세는 경제 활성화의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고용 시장 둔화와 높은 물가 상승률은 향후 소비자 활동의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 연준은 이러한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금리 정책 조정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데이터는 고용, 물가, 소비의 불균형적 흐름 속에서 미국 경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몇 개월간 소매판매와 관련된 지표들은 국내외 경제 정책과 시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

에어버스, 초대형 화물 운송 사업 종료…’벨루가 트랜스포트’ 역사 속으로

유럽연합, ‘테무, 알리’ 초저가 쇼핑 플랫폼 규제 검토… 소비자·기업 갈등 격화

리프트(Lyft), 샌프란시스코와 1억 달러 세금 소송…긱 경제 논란 재점화

새해 첫 거래 주간 전망, 주택·제조업 지표와 테슬라 실적 주목

美 정부 셧다운 위기 부상…경제적 영향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하…3.00%로 조정

정유리 기자
정유리 기자는 테크놀로지 및 IT 산업 전문 기자로, 첨단 기술 동향과 글로벌 IT 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2024. 11. 16. 03:28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