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가 정치권은 물론 시장에 일대 파장을 불러왔다. 특히 한국 비트코인 시장은 그야말로 얼어붙었다. 가격은 단 하루 만에 3000만 원 이상 폭락하며 6500만 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글로벌 시장 가격보다 한참 낮은 수준으로, 유동성 부족과 정치적 불안정이 결합해 벌어진 참사였다.
비트코인 시장에서 계엄령이라니, 어쩌면 황당한 조합 같아 보이지만 이 사건은 한국 암호화폐 시장이 얼마나 정치적 상황에 취약한지를 여실히 드러냈다.
계엄령, 시장의 냉각 버튼을 누르다
윤 대통령의 계엄령 발표는 ‘북한 위협과 반국가 세력 척결’을 명분으로 삼았다. 하지만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자 시장은 곧바로 반응했다. 주요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한순간에 급락했다.
트레이더들은 모두가 매도에 나서며 유동성 부족 현상이 극단적으로 나타났다고 입을 모은다. 소수의 유동성 공급자가 시장을 주도하는 한국 암호화폐 시장에서 큰 충격은 결국 시장 전반의 붕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가장 극적인 점은 투자자들의 즉각적인 반응이었다. 계엄령 발표 이후 주요 거래소에서는 매도 물량이 쏟아졌지만, 매수자는 자취를 감추었다. 시장 스프레드는 10% 이상 벌어졌고, 거래는 사실상 정지 상태에 가까워졌다.
한국 암호화폐 시장, 정치적 불안정의 인질인가
이번 사태는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를 드러냈다. 규제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고, 유동성 공급자가 제한적인 구조는 정치적 불안정이 곧바로 시장 위기로 이어지는 토대를 마련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다. 외환시장처럼 시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유동성 공급자의 참여나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전무하다는 것이다.
정치와 경제의 관계는 뗄 수 없다. 그러나 암호화폐는 본질적으로 탈중앙화와 독립성을 추구하는 자산이다. 그런데도 한국에서는 정치적 혼란이 시장을 뒤흔드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계엄령 철회, 반등했지만 잔해는 남아
국회가 몇 시간 만에 계엄령 철회를 결정하며 시장은 일부 안정을 되찾았다. 비트코인 가격도 9500만 원 수준으로 회복됐다. 그러나 초기의 급락세를 완전히 만회하지는 못했다.
이 사건이 단순한 시장 급락으로 끝났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투자자들은 정치적 안정성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고,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로 자금을 옮기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한국 시장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 비트코인 시장은 이번 계엄령 사태로 뼈아픈 교훈을 얻었다. 정치적 안정성이야말로 암호화폐 시장의 필수 조건이라는 점이다. 또한 유동성 공급을 다변화하고, 해외와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빙하기는 결국 끝나고 봄이 오겠지만, 이번처럼 정치적 한파가 몰아칠 때 시장이 또 얼어붙지 않으려면 지금부터라도 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 투자자의 말을 인용하며 이 칼럼을 마친다. “계엄령이 더 이상 비트코인 가격을 흔드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시장은 냉혹하지만, 결국 준비된 자가 살아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