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게임 업계가 “의자 뺏기 게임”으로 변질되어 새로운 자본 유입 없이 기존 자금만 여러 게임 프로젝트를 순환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건질라 게임즈(Gunzilla Games)의 웹3 디렉터인 테오도르 아그라나트는 홍콩에서 열린 컨센서스 2025에서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시스템에 새로운 돈이 들어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그라나트는 “기존 자본”이 새로운 가치 창출 없이 게임 프로젝트 사이에서 재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약간의 의자 뺏기 게임과 같다”고 비유했다. 댑레이더(DappRadar)에 따르면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자금 지원은 1월에 1,600만 달러로 2024년 12월의 2억 2,200만 달러에서 거의 92% 감소했다.
아그라나트는 블록체인 게임의 고유 활성 지갑(UAW) 수가 “지난여름 약 1,000만 개”에서 현재 750만 개로 감소했으며, 2024년 1분기 성장의 약 70%가 에어드롭 및 파밍 캠페인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했다.
댑레이더는 2024년 1분기를 “플레이 투 에어드롭(play-to-airdrop)” 시대로 명명하며, RPG 게임 쿠로로 비스트(Kuroro Beasts), 격투 게임 AI 아레나(AI Arena), 카드 전략 레이싱 게임 믹스몹(MixMob)과 같이 해당 분기에 상당한 에어드롭을 제공한 게임을 주목할 만한 사례로 꼽았다.
아그라나트는 사용자들이 에어드롭을 받기 위해 인위적으로 여러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고 게임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전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들은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로 이동하여 해당 프로젝트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추출할 뿐이다. 더 이상 얻을 가치가 없으면 다른 프로젝트로 이동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그라나트는 블록체인 게임 부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게임 플레이 경험을 주요 초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업계 전반에서 오랫동안 되풀이되어 온 의견이다.
2024년 7월, TON 기반 게임 생태계 픽셀버스(Pixelverse)의 공동 창립자인 코리 레온은 일부 블록체인 게임이 약속을 이행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후원자와 자금 지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웹3 게임 프로젝트가 플레이어를 유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