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닷컴 도이치뱅크와 손잡고 아시아 시장 공략 강화

크립토닷컴이 도이치뱅크와 파트너십을 맺고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 법인 금융 서비스를 강화한다. 싱가포르, 호주, 홍콩 등에서 시작해 영국 및 유럽으로 확장을 계획 중이다. 이는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중요한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크립토닷컴 도이치뱅크와 손잡고 아시아 시장 공략 강화 / inteliview

Crypto.com, 아시아 태평양 시장 대상 도이치뱅크와 협력 발표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Crypto.com)이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의 법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독일의 도이치뱅크(Deutsche Bank)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싱가포르, 호주, 홍콩 등 주요 지역을 포괄하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 생태계 내 금융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을 목표로 한다.

법인 금융 서비스 강조

도이치뱅크는 디지털 자산 수탁,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간 환전, 국경 간 거래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은행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협력의 첫 단계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집중 공략하며, 이후 몇 달 내 영국 및 유럽 주요 국가들로 영역을 확대할 계획임을 암시했다.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의 크립토닷컴 활동

크립토닷컴은 최근 몇 년간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작년 11월, 이 업체는 호주 증권 중개 및 거래 회사인 핀텍시큐리티(Fintek Securities)를 인수하며 호주 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통 금융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규제 플랫폼을 확보했다. 또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로부터 인가 후보 업체로 선정되며, 홍콩 시장 내 추가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최근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의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 홍콩, 아랍에미리트가 글로벌 암호화폐 도입률이 높은 국가로 나타났다. 특히 싱가포르는 탄탄한 금융 시스템과 강력한 투자, 디지털 자산 기업을 위한 포괄적 규제 덕분에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전통 금융 영역으로의 사업 다각화

암호화폐 영역에서 전통 금융 영역으로의 접근 또한 크립토닷컴의 전략적 행보 중 하나다. 해당 회사는 최근 2025년까지의 로드맵을 발표하며, 주식 및 파생상품 거래, 현금 잔고 이자, 신용카드 솔루션 등을 포함한 전통 금융 상품 라인업을 예고했다.

또한, 크립토닷컴은 지난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규제를 받는 브로커-딜러 ‘워치독 캐피탈'(Watchdog Capital)을 인수하며 주식과 주식 옵션 거래를 eligible(자격 있는) 거래자들에게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는 중요한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OKX 등 경쟁사들의 동향

크립토닷컴뿐만 아니라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들도 전통 금융 서비스와 암호화폐 영역 간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OKX는 올해 초 싱가포르에서 현지 결제 기관 라이선스를 취득한 후, 고객을 위한 법정화폐 입출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는 OKX가 암호화폐와 법정화폐 생태계를 연결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종합적 전망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영역 간의 공존이 점차 확대되며, 크립토닷컴과 같은 기업들은 전통 금융 서비스로의 다각화를 통해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도이치뱅크와의 파트너십은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특히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목표로 한다. 두 회사의 협력이 향후 영국 및 유럽 시장으로 확장되면서 글로벌 금융 생태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국가 비트코인 채택이 암호화폐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될 전망

AI 에이전트 시장, DeFAI와 투자 DAO가 열어가는 새로운 패러다임

솔라나(SOL) ETF 승인 사활: ‘밈코인’ 오명 벗고 제도권 금융 안착할까?

2024년 암호화폐 해킹 300건 돌파… DeFi와 이더리움, 주요 타겟으로 부상

비트코인 하락 원인과 가격 예측

크라켄, 미국서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2년 만에 재개

김성일 기자
김성일 기자는 미국 주식 시장 및 국제 금융 분야에서 8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전문 기자로, 시장 분석 및 주요 기업 동향에 대한 깊이 있는 보도를 제공합니다.
4/20/2025 23:16 기준